📨

문앞비일상의 주간 뉴스레터

아이-레벨교정센터를 구독하세요!

수요일 오후 4시마다 알차게 큐레이션한

가족 취미 콘텐츠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이메일 주소)를 수집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문비 오리지널가장 밝은 별들의 계절, 겨울(하)

밤하늘에서 오리온 뒤를 따라가는 개 두 마리를 찾아요 #천체관측 #가족취미 #겨울별자리

이전 화 '가장 밝은 별들의 계절, 겨울(상)'에 이어서
겨울 밤하늘의 별자리를 전달합니다🌝⭐🌠


큰개자리

 

큰개자리


겨울철 밤하늘 북쪽 하늘에 제일 밝은 별이 카펠라라면 남쪽 하늘에서 제일 밝은 별은 시리우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리온자리 리겔과 오리온의 몸통 아래를 이루는 별인 사이프라는 별이 있는데, 두 별을 이어 연장해 보면 매우 밝은 별 하나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별이 바로 큰개자리의 알파별인 시리우스입니다. 그리 어둡지 않은 하늘에서도 시리우스를 기준으로 2등성들을 모아 사각형 모양을 만들 수 있는데 이 별자리가 바로 큰개자리 입니다. 

밤하늘에서 1등성이라고 하면 보통은 1등급과 1등급보다 밝은 별을 통칭하곤 합니다. 그렇지만 그중에서도 밝은 별들은 등급이 음수로 표현되곤 하는데 시리우스는 등급으로 치면 -1.5등급 정도로 일반적인 1등급의 1등성보다 10배 정도 밝습니다. 이렇게 밝은 이유는 시리우스의 크기가 커서도 있지만 (대략 태양의 두 배 정도) 무엇보다도 지구와 가까워서가 큽니다. 시리우스는 켄타우르스 자리 알파별 다음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별로 거리는 대략 8.6광년 정도가 됩니다. (켄타우르스 자리 알파별은 약 4.3광년) 시리우스는 그냥 보면 하나의 별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백색 왜성을 반성으로 두고 있는 쌍성입니다. 이를 각각 시리우스 A, 시리우스 B로 부릅니다. 이 두 별은 서로를 두고 공전을 하고 있는데 이 공전하는 궤도에 따라 관측이 쉬울 때가 있고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보통은 일반적인 광학장비로는 시리우스 B를 따로 떼어 보기가 어렵지만 대구경의 망원경에서 고배율 관측을 하면 반성인 시리우스 B를 분리해서 볼 수 있기도 합니다.

동양에서는 시리우스를 28수 중 정수에 속한 천랑성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보통 큰개자리는 뒤에 나올 작은개자리와 함께 오리온의 사냥개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케팔로스의 사냥개인 라이라프스라고 합니다. 어느 마을에 여우가 나타나 마을을 어지럽혔는데, 케팔로스는 이 여우를 잡기 위해 라이라프스와 함께 사냥에 나섰다고 합니다. 재빠른 여우를 라이라프스가 빈번하게 놓치자 케팔로스는 창을 여우에게 던지려 합니다. 이를 보고 있던 제우스는 케팔로스가 창에 찔려 다칠까 걱정되어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큰개자리에는 쌍안경으로 볼만한 산개 성단이 위치해 있습니다. M41이라 불리는 산개성단입니다. 시리우스에서 서쪽으로 보면 시리우스보단 어둡지만 다소 밝은 별이 하나 보이는데 이 별이 큰개자리의 앞다리에 해당하는 미르잠이란 별입니다. 시리우스와 미르잠을 연결하는 선을 상상해보고 그 선의 1/3 정도 되는 지점(시리우스와 가까운 쪽)에서 수직인 선을 그려 시리우스-미르잠 선의 2/3 정도만큼 가면 보입니다.

사실 7배 정도의 저배율로 본다면 이렇게까지 볼 필요는 없고 시리우스를 먼저 시야에 두고 남쪽으로 살짝만 내려보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대상입니다.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와 큰개자리의 시리우스를 찾았다면 이 두 별의 동쪽으로 밝은 별 하나가 눈에 띕니다. 이 별이 작은개자리의 알파별인 프로키온입니다. 시리우스 - 베텔게우스 - 프로키온을 있는 삼각형을 겨울철 대삼각형이라 부릅니다. 아까 큰개자리와 작은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라 이야기를 했는데 오리온의 뒤를 따라가는 두 마리의 개를 상상하면 보다 쉽습니다.

작은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란 이야기와 별도로 그리스 신화에서는 마이라라는 개로 보기도 합니다. 마이라는 주인이 죽자 주인의 시체를 찾아 주인의 딸에게 알려주고 자신은 주인의 시체 옆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습니다. 이에 감명을 받은 디오니소스가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전해집니다.


쌍둥이자리

 


오리온자리 북동쪽을 보면 밝은 별 두 개가 나란히 놓여있는 것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이 두 별을 기준으로 오리온자리 방향으로 쭉 몸처럼 내려오는 별자리를 그릴 수 있는데 이 별자리가 쌍둥이자리입니다. 오른쪽, 그러니까 지평선에서 올라올 때 조금 먼저 뜨는 별이 형인 카스트로(알파별)이고 그 뒤를 따라 올라오게 되는 별이 동생인 폴룩스(베타 별)입니다.

그리스 신화에서 지난 여름철 백조자리를 이야기할 때 백조가 된 제우스와 레다 사이에 낳은 쌍둥이 아들입니다. 카스토르는 말을 잘 탔고 폴룩스는 싸움과 무기 다루는데 능했습니다. 신의 아들이지만 불사의 몸을 가진 건 폴룩스 혼자였습니다.

어느 날은 카스토르가 싸움에서 심한 부상을 입어 먼저 죽게 되는데 폴룩스는 쌍둥이 형이 죽자 그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제우스에게 자신도 죽여줄 것을 부탁합니다. 감동한 제우스는 우애를 기리기 위해 둘의 영혼을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겨울철 다이아몬드 및 대삼각형

겨울철 대육각형(다이아몬드, 좌), 겨울철 대삼각형(우)


이렇게 소개한 여섯 개의 별자리에서 마차부자리의 카펠라, 황소자리의 알데바란, 오리온자리의 리겔,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 쌍둥이자리의 폴룩스 총 6개의 알파별을 이어 보면 큰 육각형이 그려집니다. 이를 두고 겨울철 다이아몬드 혹은 대 육각형이라 부릅니다. 이 육각형 중에 시리우스와 프로키온 그리고 육각형에 속하진 않지만 오리온자리의 다른 일등성인 베텔게우스를 연결한 삼각형을 겨울철 대삼각형이라 부릅니다.


게자리

게자리


밝은 편은 아니나 쌍둥이자리 위쪽으로 어두운 별들로 구성되어 마치 황소자리의 축소판처럼 생긴 별자리가 있습니다. 이 별자리가 바로 게자리입니다. 동양권에서는 28수 중 귀수라 하며 귀신을 뜻하는 별자리이기도 합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헤라클레스가 히드라와 싸울 때, 헤라클레스를 미워한 헤라가 히드라를 돕기 위해 보낸 괴물 게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게는 헤라클레스의 발에 밟혀 죽게 되고 이를 불쌍히 여겨 헤라가 별자리로 만들었다 전해집니다.

한 쪽 집게발을 잃은 게의 모습을 하고 있는 듯한 모습을 한 이 별자리에서 게의 몸 쪽 부근을 보면 날씨가 매우 좋고 시상이 좋을 땐 흐릿한 빛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마치 쌍둥이자리의 폴룩스가 카스토르에게 이것 좀 보라고 가리키는 듯한 위치에 있는 대상이기도 합니다. 이는 M44로 분류되는 산개성단으로 벌집 성단 혹은 프레세페성단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M44는 플레이아데스처럼 쉽게 찾을 수 있는 편은 아니긴 하나 맨눈으로도 찾아볼 수 있어 망원경보다는 저배율의 쌍안경으로 보면 더 아름답게 볼 수 있는 성단이기도 합니다.


마무리하며


밝은 별들이 많은 겨울 하늘을 이렇게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겨울 밤하늘은 추위와 사투를 벌여야 한다는 단점이 크지만 여름철만큼이나 볼거리가 풍부하고 밝은 별들이 많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나 작은 구경의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볼 수 있는 성단이나 성운들이 있어 보다 다채로운 관측을 할 수 있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한번 봄부터 시작해서 사계절의 별자리들과 주요 관측 대상들을 살펴보았는데요. 정작 계절과 관계없이 볼 수 있는 대상들인 태양, 달, 태양계의 행성 관측에 대한 부분은 다루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다음 편은 번외로 태양과 달, 태양계의 행성 관측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amily



포말하우트


어릴 적부터 밤하늘을 동경해온 제주에 사는 평범한 딸 둘 아빠. 요즘은 아이들과 집 앞에서 달과 행성을 보며 함께 우주에 대한 꿈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아이와 손 잡고 천체관측 입문 시리즈


01    아이와 천체관측하기(상)

02    아이와 천체관측하기(하)

03   우리 은하의 바깥, 봄철 별자리

04   짧지만 화려한 여름철 별자리(상)

05    짧지만 화려한 여름철 별자리(하)

06    청명하고 고독한 가을철 밤하늘(상)

07     청명하고 고독한 가을철 밤하늘(하)

08    가장 밝은 별들의 계절, 겨울(상)

09     가장 밝은 별들의 계절, 겨울(하)

10     번외 편 : 지구의 이웃들


큐레이터가 추천하는 문비 오리지널

🔭 아이와 손 잡고 천체관측 입문 시리즈


📚 가족 독서와 책육아 시리즈